마이코플라스마
폐렴과 함께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미생물
마이크로플라스마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각영역에 위치하는 미생물로 인간이 감염될 경우 폐렴, 관절염 등을 증상이 발생한다.
역사
DATE | CONTENT | |
---|---|---|
2023.01.09 | [팟차라끼띠야파]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에 따른 심장 염증으로 심각한 부정맥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 |
특징
- 마이크플라스마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미생물로 독립생활을 하는 생물 중 가장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.
- 동물계 뿐만 아니라 식물 및 토양에서도 발견되며, 인간에게서는 호흡기, 비뇨기계에서 주로 발견된다.
- 세포벽이 없어 불규칙적이고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다.
하위종
-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– 호흡기로 침투해 폐렴 유발
-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 – 생식기로 침투해 요도염, 질염 등을 유발
- 마이코플라스마 호미니스 – 생식기로 침투해 요도염, 산욕열, 신우신염 등 유발
증상
폐렴
- 소아 연령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폐렴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3~7년 주기로 유행한다.
- 서태평양 지역, 즉,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발병 위험이 높다.
- 1차 항균제인 마이크로라이드를 투약해 치료할 수 있으나, 2011년 이후 항균제 내성을 가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확산되고 있다.1
- 항균제 내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무기폐, 흉막삼출, 기흉, 스티븐-존슨증후군, 뇌수막염, 심근염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한다.
사례
- 2022년 태국의 팟차라끼띠야파 공주가 마이크플라스마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.2
- “‘제2의 코로나 오나’…항균제 듣지 않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세“, 헤럴드경제, 2022.10.11 ↩
- “태국 왕실 “의식불명 공주,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확인”“, YTN, 2023.01.09 ↩